Skip to menu

구독신청: 323-620-6717

스트레스, 암의 원인일까?

wellbeing 2023.02.12 00:54 Views : 446

암 예방 교육을 할 때마다 참석자들에게 묻는 질문이 있다. “암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다시 말해 “암은 왜 걸릴까요?”가 질문이다. 나오는 대답은 거의 비슷하다. 참석자들은 술, 담배, 비만, 운동 부족 등을 답으로 말한다. 이때마다 빠지지 않고 나오는 대답이 있다. 바로 스트레스. 과연 스트레스는 암의 원인일까. 

 

만병의 근원이라는 스트레스가 암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려면 암의 정의부터 알아야 한다. 국립암연구소(NCI)에 따르면 암이란 몸 안에 있는 세포가 어떤 원인에 의해 손상되어 무제한 증식, 주변 장기를 파괴하거나 퍼져나가는 질병을 통칭하는 말이다. 그런데 아직은 정상세포를 비정상적인 암세포로 만드는 그 ‘어떤 원인’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지 못한다. 암의 원인이 스트레스인지 다른 무엇인지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것이다. 

 

대신 전문가들은 여러 가지 연구를 통해 특정 요인이 암 발생과 인과관계가 깊음을 밝혀냈다. 예를 들면 흡연, 음주, 운동, 식생활 등은 암 발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보고서를 통해 암으로 사망하는 사람들의 약 30%는 흡연, 30%는 식생활, 10~25%는 만성감염이 위험요소였다고 밝혔으며, 그 밖에도 직업이나 유전, 음주, 환경오염 등을 암 발생 위험 요소가 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스트레스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았다. 암 발병 위험을 높이는 직접적인 위험 요소인지 인과관계를 증명하지 못해서다. 국립암연구소(NCI)는 만성 스트레스와 특정 암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됐으나 명확한 근거는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스트레스와 암의 직접적 연관성은 찾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여기에는 스트레스는 개인마다 느끼는 정도의 차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된다. 

 

그렇다면 스트레스와 암은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인가. 그건 아니다. 전문가들은 스트레스가 암 발생에 있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음주나 흡연, 과식 등 건강하지 못한 행동을 하게 되고, 운동량은 줄어드는 결과에 주목했다. 스트레스 자체가 암의 직접적인 위험 요소라기보다 스트레스로 인해 암 발생 위험이 높은 행동을 하게 될 확률이 증가, 결국 암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넓은 의미에서는 암 발병 위험을 낮추기 위해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암을 예방하기 위해 스트레스 관리에도 신경을 쓰는 2월이 되기 바란다. 단순히 스트레스를 받는다, 안 받는다는 사실보다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내가 하는 행동에 집중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조금 더 건강한 삶에 가까이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동희.jpg
발생률 1위 전립선암, 유방암 / 사망률 1위 남녀 모두 폐암
 
지난해 미국에서 남성은 전립선암, 여성은 유방암 진단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암 환자 중 폐암으로 사망한 사람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암협회(ACS)가 최근 발표한 2022년 암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2년 암 진단을 받은 남성 중 1위는 전립선암, 2위는 폐·기관지암, 3위는 대장암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유방암, 폐·기관지암, 대장암 순이었다. 
반면 사망률은 남녀 모두 폐·기관지암이 1위로 가장 많았다. 남성은 전립선암과 대장암이 그 뒤를 이었으며, 여성은 유방암과 대장암이 2위와 3위를 기록했다. 사망률  4위의 췌장암은 발생률에선 상대적으로 낮은 순위(남성 10위, 여성 8위)를 보여 예후가 좋지 않은 대표적인 암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김동희 
현재 미국병원 암센터 커뮤니티 아웃리치팀 수석 코디네이터로 활동 중. 전 미주 한국일보, 뉴욕 중앙일보 기자. '미국 엄마의 힘' 저자. 
연락처: (213)545-1014

일자: 2023.03.12 / 조회수: 89

“3월에는 대장암 검사 하세요”

3월은 대장암 인식의 달(Colorectal Cancer Awareness Month)이다. 유방암 인식의 달을 기념하는 10월 곳곳에서 분홍색 리본을 만날 수 있다면 3월에는 파란 리본이다. 대장암연합(Colorectal Cancer Alliance) 등의관련 단체들은 3월 한 달 동안 파란 리본을 내걸고 대대적인 인...

일자: 2023.02.12 / 조회수: 446

스트레스, 암의 원인일까?

암 예방 교육을 할 때마다 참석자들에게 묻는 질문이 있다. “암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다시 말해 “암은 왜 걸릴까요?”가 질문이다. 나오는 대답은 거의 비슷하다. 참석자들은 술, 담배, 비만, 운동 부족 등을 답으로 말한다. 이때마다 빠지지 않고 나오...

일자: 2023.01.11 / 조회수: 78

가난해도 병들지 않는 우리 커뮤니티를 꿈꾸며…

2023년, 어느새 5년이다. 5년 전인 2018년, 현재 일하고 있는 미국병원 암센터에 새로운 연구소가 생기면서 코디네이터 중 한 명으로 팀에 합류했다. 새로운 연구소는 ‘건강 형평성(Health Equity)’을 연구하는 곳이었다. ‘헬스 에퀴티’라는 영어 단어를 ...

일자: 2022.12.18 / 조회수: 149

“건강보험, 잘 사용하고 계십니까?”

어느 날 남편이 짜증 섞인 목소리로 말했다. “병원 예약하기, 너무 힘들어. 빨리 예약할 수 있는 안과 찾아서 현금 내고 진료받을래.” 등잔 밑이 어두웠다. 병원에서 일하는 아내는 커뮤니티에서 암 예방 건강교육을 하고, 암 정기검진을 받도록 돕는 일을 하고 있다....

일자: 2022.11.11 / 조회수: 95

군중 속에서 위험을 느낀다면… 내가 할 수 있는 8가지

10월 29일 한국에서는 할로윈을 앞두고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일대에 10만 인파가 몰리면서 대규모 압사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150여 명 이상이 목숨을 잃어 한국은 물론이고 미주 한인들도 충격에 휩싸였다. 미국, 영국 등 전 세계 언론들도 이 소식을 주요 뉴스로 다뤘다....

일자: 2022.10.21 / 조회수: 78

포스트 팬데믹, 당신의 마음은 안녕하십니까?

얼마 전 정기검진을 위해 병원에 갔다. 대기실에서 기다리며 사전 질문지에 답했다. 지난 2주간 잠은 잘 자고 있는지, 식사는 규칙적으로 하는지, 집중력이 떨어졌는지, 일상에서의 흥미가 감소했는지 등을 묻는 질문지였다. 의외로 해당 사항이 많아서 질문지 제목을 확인했다. ...

일자: 2022.09.22 / 조회수: 81

이 원장님과 김 선생님께 보내는 감사와 응원의 편지

안녕하세요, 이 원장님 그리고 김 선생님. 많은 일이 있었던 여름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늘 ‘ 맑음’으로 표시되는 천사의 도시에 살고 있으니 계절의 변화도 느끼기 힘듭니다만, 우리들의 마음 속에선 몇 번이고 날씨가 오락가락 했던 그런 여름이 아니었나합니다. 또...

일자: 2022.08.11 / 조회수: 449

엄마가 유방암 수술을 받았을 때, 그리고 5년

한국에서 엄마를 만났다. 5년 만이다. 그 사이 수많은 순간, 엄마의 모습을 상상했었다. 누구는 엄마가 피부과를 정기적으로 다니면서 피부가 백옥같이 예뻐졌다고 했다. 또 다른 누구는 무릎 통증 때문에 엄마 걸음이 예전 같지 않다고 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궁금했던 것은 유방...

일자: 2022.07.14 / 조회수: 80

“이 날이 바로 그런 날이었다”

아침 7시 30분. 아시는 분이 문자를 보내셨다. 아침 일찍 미안한데 급한 일이라서 연락을 했다고 하셨다. 글자 하나 하나 사이로 긴박함이 묻어났다. 한 한인 교회에서 리더로 활동하시며 평소 내가 하는 일을 많이 도와주시던 분이다. 연락을 드려보니 남편이 얼마전 간암 진단을...

일자: 2022.06.20 / 조회수: 72

아픔이 지나간 자리에 남은 것

얼마전 한 복지재단으로부터 생활지원금 수혜자를 추천해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어려운 상황에 있는 이들에게 경제적 보조를 해준다는 취지였다. 2년 여 넘게 이어지는 코로나 시대를 살아내면서 정신적, 육체적, 그리고 무엇보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는 이들을 위...

일자: 2022.05.08 / 조회수: 106

운동·식생활·수면·학습·인간관계·외상주의

치매 예방 6가지 방법 한인들을 대상으로 암 예방교육을 하다보면 종종 치매에 관한 질문을 받을 때가 있다. 암 발생 위험률을 낮추고 싶어서 강의를 들었는데, 암에 대한 두려움이 줄어드니 이제 치매가 걱정된다는 분들이다. 암과 치매는 두 질병 모두 ‘나이’가 위...

일자: 2022.04.08 / 조회수: 135

건강보험이 없는 저소득층 이웃을 돕는 방법

“약자위한 정보공유 필요” 어느 날 한 목사님께서 전화를 하셨다. “저희 성도님 중에 한 분이 전화를 하셔서 울기만 하시는 데 도와드릴 방법이 없을까요?” 그날 전해 들은 사연은 이렇다. 교회 성도님께서 하혈이 멈추지 않아서 산부인과에 가서 검사를 ...

일자: 2022.03.26 / 조회수: 78

오늘의 역사(3월 27일, 1947)

글·그림 박상철 estlight@naver.com

일자: 2022.03.26 / 조회수: 64

오늘의 역사(3월 26일, 1910년)

글·그림 박상철 estlight@naver.com

일자: 2022.03.26 / 조회수: 52

오늘의 역사(3월 25일, 1985년)

글·그림 박상철 estlight@naver.com

일자: 2022.03.23 / 조회수: 48

오늘의 역사(3월 24일, 1978년)

글·그림 박상철 estlight@naver.com

일자: 2022.03.22 / 조회수: 41

오늘의 역사 (3월 23일, 1992년)

글·그림 박상철 estlight@naver.com

일자: 2022.03.20 / 조회수: 57

오늘의 역사(3월 20일, 1995년)

글·그림 박상철 estlight@naver.com

일자: 2022.03.19 / 조회수: 59

오늘의 역사(3월 19일, 1882년)

글·그림 박상철 estlight@naver.com

일자: 2022.03.17 / 조회수: 67

오늘의 역사(3월 18일, 37년)

글·그림 박상철 estlight@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