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enu

구독신청: 323-620-6717

김연신 컷-1.jpg

 

 

아킬레스건(Achilles’heel), 머피의 법칙(Murphy’s law), 판도라의 상자(Pandora’s box). 이들의 공통점은 사람 이름이 들어간 표현이다. 아킬레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이고 아킬레스건의 뜻은 치명적인 약점이다. 머피의 법칙은 미국 공군 대위 에드워드 머피가 처음 주장했고 그 뜻은 잘못될 수 있는 일은 결국  잘못된다는 것이다. 그리스 신화 최초의 여성 이름이 판도라이고 판도라의 상자는 공개하면 엄청난 혼란이 야기되는 사안을 비유하는 표현이다.

 

영어에는 이처럼 사람 이름이 들어간 표현들이 많다. 이름이 들어간 한국 속담이라면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나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왕서방이 번다’ 정도일 텐데 이들도 성이 들어가 있다. 반면 영어 표현에는 주로 퍼스트 네임이 들어간다. 사람 이름이 들어간 영어 표현들은 간단하지만 은유적이고 상징성이 있기 때문에 알아두면 대화를 풍성하게 한다.

peeping Tom은 엿보기 좋아하는 호색가, 관음증 범죄자를 뜻한다. 11세기 영국 코벤트리 지역의 레오프릭(Leofric) 백작이 주민들에게 높은 세금을 부과하자 그의 부인 고다이바(Godiva)가 나서 세금을 낮춰달라고 요청했다. 백작은 부인이 알몸으로 말을 타고 성을 한 바퀴 돌면 세금을 낮추겠다고 했고 부인은 이를 받아들였다. 단 주민들에게 문을 잠그고 창문을 가리라고 명했다. 주민들 가운데 백작 부인의 알몸을 엿본 사람이 있었으니 바로 Tom 이었다. 백작은 약속대로 세금을 내렸지만 훔쳐본 Tom은 눈이 멀었다. 여기서 나온 표현이 peeping Tom(peep: 동사 훔쳐보다)이다. 초콜릿 고다이바가 이 백작부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Even-Steven은 대등한, 동점인, 50:50인 상황을 뜻한다. I split the money with my wife even-Steven.(나는 부인과 돈을 동등하게 나눴다.) 19세기부터 쓰였는데 영국에서 Steven 또는 Stephen이 돈을 뜻하는 은어였고 거기서 파생돼 운을 맞춘 표현이다.

Jack of all trades, master of none은 이것저것 잘하지만 제대로 하는 것은 없는 사람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17세기부터 쓰였고 Jack은 당시 흔한 이름인 John의 닉네임이다. 상황에 따라 다재다능하다는 칭찬이 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전문성이 없다는 부정적인 느낌이 강하다. 

한국에 신사임당이 있다면 미국에는 Benjamin이 있다. 100달러 지폐에 벤자민 프랭클린의 얼굴이 있기 때문에 돈을 의미한다. It’s all about the Benjamins(이게 다 돈 때문에 하는 일이다)는 90년대 후반 힙합 노래에 나온 가사였는데 이제는 관용구처럼 쓰인다.

John Hancock은 서명, 사인을 말한다. 미국 독립선언문에 John Hancock이 가장 먼저 서명했고 그의 사인이 유난히 크고 뚜렷해서 생겨난 재미있는 표현이다. Put your John Hancock on this. (여기에 사인하세요.) 그는 영국 왕 조지 3세가 자신의 서명을 똑똑히 보라는 의미에서 크게 사인했다고 하는데 원래 모든 문서에 사인을 크게 하는 버릇이 있었다고 한다. 

average Joe와 average Jane은 평범한 미국 사람을 가리킨다. 19세기부터 쓰던 표현으로 Joe와 Jane이  한 음절의 쉽고 흔한 이름이여서 썼을 거라고 분석한다. 미군 병사는 구어체로 GI Joe(남), GI Jane(여)이라고 한다. GI는 government issue, ground infantry의 약자로 해석한다. 

 

Jane Doe와 John Doe는 신원미상자를 뜻한다. 한국의 아무개, 홍길동과 비슷하다. 19세기 영국 법정에서는 토지 회복 등 일부 소송을 할 때 실명 대신 가상으로 피고는 Richard Roe, 원고는 John Doe라는 가명을 쓰는 관행이 있었다. 거기서 시작된 표현이다. 변사체를 가리키기도 하고 성폭력 등 범죄 피해자 보호를 위해 실명 대신 사용한다. 한인 도장현씨가 이민 초기 잘 모르고 영어 이름을 John Doe로 하는 바람에 사람들이 오해해 고초를 겪었다는 기사가 언론에 보도돼 화제가 됐었다.

Uncle Sam은 미국 정부를 뜻한다. 19세기 초 미군에 고기를 납품하던 업자 Sam Wilson이 있었는데 주변에서 그를 Uncle Sam이라 불렀다. 그가 군대에 납품하는 물건에는 United States의 약자인 US가 찍혔는데 Uncle Sam의 약자가 아니냐며 농담하던 것이 퍼져나가 미국의 별명이 됐다.

 

Every Tom, Dick and Harry는 평범한 사람들, 불특정 다수를 나타내는 관용구다. 17세기 영국에서 등장했고 당시 가장 일반적인 남자 이름을 나열한 표현이다. 오래된 느낌이지만 일반 대화나 영화에도 자주 등장한다. 셰익스피어의 역사극 헨리 5세에 비슷한 표현 Tom, Dick and Francis라는 대사가 존재한다.

Keep up with the Joneses는 뒤처지지 않으려고 남들이 하는 것을 따라 하는 사람이나 상황을 뜻한다. 1913년부터 연재됐던 미국 만화의 제목이다. 만화에 등장하는 McGin 패밀리가 이웃 Jones 패밀리를 따라가려고 고생하는 내용이다. 카다시안 패밀리가 유명해진 리얼리티쇼 제목 Keeping up with Kardashians도 여기서 따온 것이다.

 


 

김연신 

UCLA 정치학 전공 TESOL 부전공 / 라디오 코리아. 미주 한국일보 기자 / 영어 관련 블로그, 소셜미디어 그룹 운영 . 

▶블로그 https://m.blog.naver.com/PostList.naver?blogId=milesmiles0803

일자: 2023.07.11 / 조회수: 83

고전 문학과 유명한 책에서 시작된 영어 관용구

한국은 가을이 독서의 계절이지만 미국은 여름이 독서의 계절이다. 미국은 여름방학에 별다른 숙제 없이 책 몇 권을 읽으라는 식의 숙제가 대부분이고 휴가 때 고즈넉하게 책을 읽는 문화도 있다. 유명 작가들은 여름에 신작을 집중적으로 발표하고 출판사들은 Summer Reading 마...

일자: 2023.06.10 / 조회수: 140

줄임말로 읽는 세상

건강 검진 결과에 SOB: NA라는 글자가 보였다. SOB는 비속어 Son of a Bitch의 줄임말인데 그게 내 건강과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Shortness Of Breath: Not Applicable(호흡곤란/숨 가쁨: 해당 없음)이라는 뜻이었다. hi-res vid가 필요하다는 이메일을 받았다. Hawaii-Reservati...

일자: 2023.05.12 / 조회수: 94

사람 이름이 들어간 영어 표현

아킬레스건(Achilles’heel), 머피의 법칙(Murphy’s law), 판도라의 상자(Pandora’s box). 이들의 공통점은 사람 이름이 들어간 표현이다. 아킬레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이고 아킬레스건의 뜻은 치명적인 약점이다. 머피의 법칙은 미국 공군 대위 에드워드 머피...

일자: 2022.11.06 / 조회수: 113

‘Money doesn’t grow on trees’땅 파도 돈 한푼 안 나온다

경기 침체를 걱정하는 뉴스가 넘쳐난다. 얼마 전에는 Amazon 창업자 Jeff Bezos의 짧은 트위터 포스팅이 주요 뉴스로 등장했다. 그는 “the probabilities in this economy tell you to batten down the hatches. 현재 경제의 여러 개연성 들이 당신에게 위기에 대비하라고 ...

일자: 2022.04.25 / 조회수: 749

생활인 이민자들의 영어 표현력

이민자들에게 영어를 잘 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개개인 상황에 따라 각양각색의 답이 나올 것이다. 우리 이민자들은 시험을 보기 위해 영어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험생들을 위해 고안된 한국식 영어 공부법은 큰 효과가 없다. 한국의 영어 공부법은 기본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