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enu

구독신청: 323-620-6717

이정아 수필.jpg

 

 

단골 옷가게의 사장인 S 씨가 결혼을 한다. 그녀의 신랑감과 밥을 함께 먹을 기회가 있었는데, 대화가 궁했다. 잘 모르는 사이에 공통화제도 없으니 어색했다. 한국사람들이 흔히 하는 고향과 족보에 대해 몇 마디 말을 하다가, 뜻밖의 연결고리를 발견했다. 신랑의 누이가 내가 가르친 제자인 것이다. 고3때 담임을 내가 했었다며 다들 흥분하여 옛날 사진이 셀폰으로 오가고 전화 통화를 하고 한바탕 법석이었다. 미안하게도 나는 희미한 기억이 남아있을 뿐 얼굴을 봐야 알 것 같았다.

S의 시누이뻘 이자 나의 옛 제자가 드디어 지난 연휴에 샌프란시스코에서 왔다. 남편과 여동생, 어머니까지 온 식구가 출동을 한 것이다. 둘 다 재혼이므로 간단한 약혼식만 하고 결혼식은 생략한다며 온 것이다. 제자는 졸업앨범과 추억의 사진을 들고 왔다. 앨범 속엔 젊은 날의 내가 담임선생으로 웃고 있었다. 앨범을 보고 제자의 실물을 보니 옛 생각이 새록새록 났다.

앨범 속의 다른 이들의 근황을 묻고 이일 저 일로 수다가 만발했다. 따져보니 제자는 19세 꽃띠였고 나는 28세 청춘이었다. 겨우 9살 차이 나는 스승과 제자는 이제 함께 늙어가는 중이다. 제자의 어머니는 생활관에 절 받으러 오셨을 때 나를 만난 적이 있다시며 말끝마다 “잘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하며 여러 번 인사 하셨는데 매우 민망했다. 지금 생각해 보니 사명감도 없는 엉터리 교사였는데 말이다. 거기에다 가정선생이어서 한복을 떨쳐 입고 예절지도까지 하였으니 소도 웃을 일이다. 예의라고는 도무지 없는 지금의 나를 생각하면 몸 둘 바를 모르겠다.

나는 84년에 교직을 그만두고 미국에 왔는데, 제자도 그 뒤에 미국에 와 살면서 미국 갔다는 내 이야기를 많이 했다는 것이다. 제자가 기억하는 나는 ‘단 하루도 같은 옷을 입지 않았다’는 것과 ‘오늘은 담임이 무엇을 입고 올 것인가?’가 학생들의 화제였다고 한다. 가르치는 것보단 옷 치장에 비중을 두었다는 말이니 우습다. 남을 통해 나의 젊은 날의 허접한 역사가 보인다. 학생선도를 가장하여 공짜 영화 관람도 많이 한 사실은 다행히 제자들은 모른다.

키가 작아 2번이었던 제자 진숙이는 교탁 바로 앞에 앉아 눈을 말똥거리며 나를 쳐다보던 소녀였다. 교복 자율화가 시작되던 그 시절 모두들 화려한 옷을 입으려 광풍이 불었는데, 얌전한 사복을 입어 내 맘에 들었던 모범학생이었다. 그 사이 별로 자라지 않아 아담사이즈어른이 되었는데, 자기보다 두 배는 큰 미국신랑을 만나 함께 있는 걸 보니 대견했다.

30년 만에 만난 제자로부터 향긋한 향과 양초와 우단같이 붉은 거어베라 부케를 받았다. 자격도 없는 내가 황홀한 선물을 받으니 눈물이 났다. 만나는 순간부터 눈물이 글썽하던 제자도 함께 울었다. 이렇게 다시 만날 줄 알았으면 조금 더 열심히 선생노릇을 하는 것인데 말이다.

매일이 마지막이듯 간절하게 사람을 대하고 하루하루를 최선을 다해 살 일이다.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도 부끄럽지 않도록.

 

 

 
이정아(본명:임정아)
- 경기여중고,이화여자대학교 졸업
- 1991 교민백일장 장원
-1997년 한국수필 등단
-재미수필문학가협회회장, 이사장 역임
-피오 피코 코리아타운 도서관 후원 회장 역임.
- 선집『아버지의 귤나무』외 수필집 다수
- 조경희 문학상외 다수
- 한국일보 (미주) 문예공모전 심사위원
- 한국일보 칼럼 집필(1998년~2012년)
현재 중앙일보 미주판 칼럼(이 아침에) 집필

일자: 2023.11.14 / 조회수: 20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날까

단골 옷가게의 사장인 S 씨가 결혼을 한다. 그녀의 신랑감과 밥을 함께 먹을 기회가 있었는데, 대화가 궁했다. 잘 모르는 사이에 공통화제도 없으니 어색했다. 한국사람들이 흔히 하는 고향과 족보에 대해 몇 마디 말을 하다가, 뜻밖의 연결고리를 발견했다. 신랑의 누이가 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