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트 C 마음에 안 들면 한차례 변경 가능
중단 된 지 10년 만에 다시 부활
오리지널 메디케어 가입자는 이용 못 해
메디케어 주치의 제도인 메디케어 어드밴티지(파트 C)에 가입돼 있다면 올해 3월 31일까지 한차례에 걸쳐 보험 회사나 플랜을 바꿀 수 있다. 이 기간을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오픈 인롤먼트 기간’(Medicare Advantage Open Enrollment Period) 또는 줄여서 MA OEP라고 부른다.
기간은 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이며 가입한 달 다음 달부터 혜택이 시작된다.
또 한차례 변경 기회
연방 정부는 메디케어에 가입한 시니어들에게 다양한 이유로, 다양한 가입 기회를 제공한다.
메디케어 자격이 되는 시니어(대부분 65세)들이 이용하는 7개월간의 첫 가입 기간(IEP), 메디케어 가입자들이 자유롭게 다양한 옵션을 선택을 할 수 있는 연례가입 기간(AEP), 그리고 1년에 딱 한 차례만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플랜을 변경할 수 있는 OEP, 특별한 사유로 플랜을 바꿀 수 있는 특별 가입 기간(SEP), 그리고 최고 등급을 받은 파트 C 보험사로 플랜을 바꿀 수 있는 ‘5 스타’ 가입기간이다.
IEP는 65세 생일을 맞은 달을 전후해 각 3개월씩 총 7개월간(생일달 포함)이다. 이 기간을 놓치면 다음 해 1~3월 일반 가입 기간을 이용해야 하지만 혜택은 7월 1일부터 시작되고 늦게 가입한 만큼 벌금을 평생 내야 한다.
얼마 전 끝난 연례 가입 기간(AEP)은 10월 15일부터 12월 7일까지이며 메디케어 가입자들이 원하는 만큼 마음대로 보험과 플랜을 바꿀 수 있다. 맨 마지막에 선택한 보험이 이듬해 1월부터 1년간 건강을 책임지게 된다. 메디케이드(메디칼)나 저소득층 처방전 지원 프로그램 LIS 혜택이 없는, 메디케어만 가지고 있는 시니어들은 연례가입 기간에만 마음대로 플랜을 바꿀 수 있다.
하지만 이 기간을 놓쳤다고 해서 실망할 필요는 없다. 연방정부는 2019년부터 메디케어만 가지고 있는 시니어들에게 한 번 더 바꿀 기회를 준다. 이를 OEP라고 한다. 하지만 딱 한차례만 보험이나 플랜을 바꿀 수 있다.
특별 가입 기간. 이를 SEP(Special Enrollment Period)라고 부른다. 주치의 제도인 파트 C에 가입했는데 네트워크 지역을 벗어난 지역으로 이사를 갖거나 양로원 입원, 또는 극빈자 지원 메디케이드(메디칼) 자격 획득, 자격 상실 등등의 변화가 생겼을 때 이 기간을 이용해 플랜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직장 보험에서 나왔을 때도 이 기간 중 메디케어 파트 B 보험을 벌금 없이 신청할 수 있다.
5 스타 가입 기간. 보험회사가 모든 서비스에 만점을 받았다면 우리는 ‘5 스타’ 플랜이라고 부른다. 메디케어에서 받을 수 있는 최고 점수의 보험이다. 12월 8일부터 이듬해 11월 30일까지 한 차례만 5 스타 평점을 받은 보험회사로 바꿀 수 있다.
오픈 가입 기간(OEP)
메디케어 OEP를 정기 변경가입 기간 AEP로 혼용해 사용한다. AEP는 매년 10월 15~12월 7일이다. 이 기간을 이용해 오리지널 메디케어(파트 A, 파트 B)에서 주치의 제도인 파트 C로, 또는 파트 C에서 다시 오리지널 메디케어로, 파트 C에서 파트 C로, 파트 D에서 파트 D로 보험회사 또는 같은 보험사의 다른 플랜으로 바꿀 수도 있다. 한마디로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
하지만 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의 OEP 기간 중에는 오리지널 메디케어에서 파트 C로는 가입할 수 없고 나머지는 AEP 기간과 동일하다. 그래서 이 기간을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오픈 인롤먼트’(MAOEP)라고 부르는 것이 정확한 명칭이다.
그렇다면 왜 연방정부는 AEP에 추가로 OEP까지 도입해 변경 기회를 줄까.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플랜에 가입한 시니어들은 가끔 자신의 플랜에 불만을 가지곤 한다. 서비스도 마음에 들지 않고 또 잘 이해할 수 없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특히 AEP기간중 최종 선택한 플랜이 마음에 들지 않을 수도 있고 또 처음 듣던 것과는 다를 수도 있다.
또 네트워크 내 의사 명단을 확인하지 못했을 수도 있고 또 혜택 설명서도 곧잘 잘 못 이해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원치 않는 플랜을 연말까지 가지고 있다면 여러모로 불편할 것이고 또 보험회사도 고객들의 불만을 쉽게 처리해 주기도 곤란할 것이다.
이럴 때 1월부터 3개월 동안 실시되는 OEP를 이용하면 된다.
▶예전 가입 기간 부활
이 OEP는 사실 새로운 변경 기간은 아니다. 예전부터 시행해 왔지만 오바마케어로 불리는 전 국민 의료보험(ACA)이 시작되면서 더 이상 사용이 중단됐다.
2010년 ACA가 법제화되면서 종전까지 사용되던 메디케어 OEP는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탈퇴 기간’(Medicare Advantage Disenrollment period’으로 바뀌었다. 기간도 1월 1일부터 2월 14일까지였다.
메디케어 어드밴티지(파트 C)에서 탈퇴해 다시 오리지널 메디케어로 되돌아가는 것만 허용되고 파트 C에서 다른 파트 C로의 변경은 허용되지 않았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대로 잘못 이해해 선택한 플랜이나 보험을 다시 변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의회가 다시 예전의 OEP를 도입해 2019년부터 다시 시행하게 된 것이다.
▶마케팅 금지
메디케어를 관리하는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서비스 센터(CMS)는 MA OEP(1월 1~3월 31일) 기간중 에이전트들의 고의적 마케팅 행위를 금지한다. 고객들에게 혼동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시니어들의 자발적인 판단에 맡긴다는 것이다.
시니어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원치 않는 광고물 발송이나 AEP 중 다른 보험으로 옮긴 이전 고객에게 전화를 하는 경우 등도 금지된다. 하지만 극빈자 지원 프로그램 가입자나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등에게는 마케팅이 가능하다.
오리지널 메디케어란
참고로 오리지널 메디케어는 연방정부에서 관리하는 원래 시니어 건강보험을 말한다. 주치의 없이 전국 어디에서나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우리가 PPO라고 부르고 있는지만 전혀 다른 잘못된 명칭이다.
오리지널 메디케어는 병원을 지원하는 파트 A와 의료 진료를 지원하는 파트 B만 허용된다. 처방전 파트 D 플랜을 별도로 가입해야 하며 의료 비용도 디덕터블, 코페이 등과 함께 진료비의 20%를 가입자가 부담해야 한다.
하지만 파트 C는 연방정부의 승인을 받은 일반 보험회사에서 운영하는 플랜으로 파트 A, 파트 B, 경우에 따라 파트 D 혜택을 모두 포함하고 가격도 저렴하다. 그런데 주치의를 정해야 하며 주치의가 소속된 네트워크 안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HMO와 네트워크 이외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자기 부담금이 큰 PPO, PFFS 등이 대표적이다.
자넷 김 기자 janet@usmetronews.com
Comment 0
일자: 2022.02.18 / 조회수: 398 메디케어 어드밴티지로 불리는 파트 C 보험에 가입해 있는데 아무래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연말에 있을 정기 메디케어 연례 변경 기간(AEP: 10월 15일~12월 7일)까지 너무 오래 기다려야 하는데 말이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다. 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
일자: 2022.02.15 / 조회수: 1237 수입 높으면 파트 B, D 보험료 더 내야 치료비 많이 나온다고 메디갭 취소 못 해 치과 서비스 받으려면 파트 C 가입 메디케어는 매우 복잡하다. 종류도 다양하고 또 가입도 아무 때나 할 수 없다. 정해진 기간 내에만 가능하다.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자신이 가입한 메디케어에 매... |
일자: 2022.01.12 / 조회수: 1086 파트 C 마음에 안 들면 한차례 변경 가능 중단 된 지 10년 만에 다시 부활 오리지널 메디케어 가입자는 이용 못 해 메디케어 주치의 제도인 메디케어 어드밴티지(파트 C)에 가입돼 있다면 올해 3월 31일까지 한차례에 걸쳐 보험 회사나 플랜을 바꿀 수 있다. 이 기간을 ‘메... |
일자: 2021.12.18 / 조회수: 4443 2017년 1월 1일 이후 사망자 변경 규정 적용 보험료 및 의료 방문 비용은 대상 아니야 공증 법원 거치지 않는 재산은 제외 요즘 자주 받는 질문이 있다. 집이 있는 사람이 메디칼을 받으면 나중에 정부에서 집을 가져가냐는 질문이다. 결론부터 말한다면 맞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
일자: 2021.12.09 / 조회수: 12900 Cover story 2022년 건강보험 2022년 건강보험 1월 31일까지 가입 빈곤선 150%까지는 보험료‘0’부터 병력 있어도 보험료 차등 없이 가입 오바마캐어로 불리는 전국민 건강보험 가입이 11월 1일부터 내년 1월까지 계속된다. 연방 정부 운영 건강보험 ‘마켓 플레... |
일자: 2021.12.04 / 조회수: 2114 추가 혜택보다 자신에 맞는 플랜 선택을 전국 여행을 자주 한다면‘오리지널’적합 꾸준한 건강 관리 위해서는 HMO가 유리 규모 크고 리퍼럴 좋은 메디컬 그룹 선택 메디케어 연례 변경 기간이 10월 15일부터 12월 7일까지 거의 8주간 계속됐다. 많은 시니어들이 이 기... |
일자: 2021.11.14 / 조회수: 523 <Cover story 사회복지 예산안‘더 나은 재건법’> 양로원 대신 홈케어 간병 확대 메디케어 치과, 안경은 제외 오리지널 메디케어에서 보청기를 제공한다. 하지만 당초 예상됐던 치과와 안경은 제외됐다. 또 메디케이드(캘리포니아는 메디칼)의 보조를 받는 시니어들의 ... |
일자: 2021.11.12 / 조회수: 2366 2022년 메디케어 파트 B 표준 보험료 170.10달러 내년 메디케어 파트 B 표준 보험료가 올해보다 14.5% 올라간다고 ‘메디케어 메디케어드 서비스 센터’(CMS)가 12일 발표했다. 당초 인상률 6.7% 예상치를 두배 이상 뛰어 넘은 수치다. 이에따라 2022년 표준 메디케어 보험료는 170.10달러다. 2021년 148.50달러보다 21... |
일자: 2021.10.17 / 조회수: 1289 <서울메디컬 그룹> “그룹의 이익보다 환자의 건강이 우선” 7개 주 10개 대도시서 의료 혜택 제공 4년 연속‘5 스타’최고 진료 등급 유지 메디케어 연례 변경 기간이 10월 15일부터 시작된 가운데 치과, 안경, 보청기, 침술 등 오리지널 메디케어에서 제공... |
일자: 2021.10.07 / 조회수: 1091 <Cover story> 10월 15~12월 7일 7주간, 연례 변경 기간 시작 오리지널, 파트 C, 파트 D 마음대로 변경 다양한 플랜 비교해 자신에 적합한 것 찾기 1년간 사용할 보험, 내용 충분히 숙지해야 메디케어 연례 변경 기간이 시작됐다. 기간은 10월 15일부터 12월 7일까지 7주간이다. ... |
일자: 2021.09.12 / 조회수: 1930 메디케어는 국외 진료 커버 안돼 일부 파트 C는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 해외 체류 증명하면 벌금 없이 파트 D 가입 해외에 살려고 하는데 메디케어는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다. 기본적으로 메디케어는 미국 또는 미국령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한국 등 해외... |
일자: 2021.09.03 / 조회수: 1638 많은 한인들이 오리지널 메디케어를 PPO라고 부른다. 하지만 잘못된 말이다. 오리지널 메디케어는 주치의 없이 원하는 곳을 마음대로 다닐 수 있다는 의미로 PPO라고 생각하지만 의미가 전혀 다르다. 얼마 전 한 지인이 자신은 PPO를 가지고 있는데 전국으로 돌아다니며 진료를 할... |
일자: 2021.08.20 / 조회수: 912 예비 은퇴 직장인 최대 고민은 건강 보험 연방 보조금 확대로 보험료 더 적을 수도 빈곤선 150%까지 보험료‘0’로 가입 가능 팬더믹이 끝나면서 직장으로 복귀하는 직장인들이 많아졌지만 적지 않은 이들이 고민에 빠져 있다. 팬더믹 기간 중 깎였던 급여를 ‘고... |
일자: 2021.08.13 / 조회수: 1466 메디케어 가입 기간 어기면 평생 벌금 처방전 파트 D는 월 보험료 1%씩 추가 파트 B는 12개월마다 10%씩 평생 내야 메디케어는 제때 가입하지 않으면 벌금을 내야 한다. 벌금도 한 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가입하고 있는 동안 평생 내야 한다. 따라서 가입 기간을 준수하는 것이 ... |
일자: 2021.08.06 / 조회수: 390 바이든, 유급 병가등 3.5조 예산안 공개 “오리지널도 안경, 보청기, 치과 포함” “처방 약값 인하 협상권 연방정부에 권한” 연방정부에서 제공하는 오리지널 메디케어는 안경과 보청기, 치과를 커버해 주지 않는다. 이런 혜택을 받으려면 메디케어 어드밴... |
일자: 2021.07.07 / 조회수: 1646 연 소득 많다면 파트 B, 파트 D 보험료에 ‘부자세’ 추가 많은 한인들이 65세 이상 미국인들에게 제공되는 메디케어가 공짜로 알고 있다. 잘못된 생각이다. 메디케어 파트 C 보험료가 거의 0에 가깝기 때문에 생기는 오해일 것이다. 재산이 없고 수입이 극빈 수준에 머물러 의료비 지불 능력이 없다면 메디케이드(캘리포니아는 메디칼)라는... |
일자: 2021.06.08 / 조회수: 303 메디케어는 65세에 가입해야 한다. 가입을 하지 않으면 늦게 가입한 기간 만큼에 해당하는 추가 보험료를 평생 내야 한다. 게으른 데 대한 벌금이다. 그런데 65세가 되어도 메디케어에 가입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몇 가지 있다. 그중에서도 직장에서 제공하는 직장 보험이 있다... |
일자: 2021.05.25 / 조회수: 794 “아무리 설명해도 지나치지 않다.” 메디케어를 두고 하는 말이다. 많은 사람이 질문을 던지고 수없이 많은 대답이 오고 가지만 정확히 의미를 알고 있는 한인들은 그리 많지 않다. 보험 에이전트에게 알아서 해 달라는 한인들이 많은데 잘못된 생각이다. 가입자가 정확... |
일자: 2021.05.25 / 조회수: 3772 IRA·401(k) 등 은퇴 구좌, 메디케이드에 영향 줄 수 있어 IRA나 직장 펜션, 401(k) 같은 개인 은퇴 플랜이 ‘메디케이드’(캘리포니아는 메디칼) 자격에 영향을 주는지를 궁금해하는 한인들이 많다. ‘메디케이드’(medicaid)는 극빈자에게 주는 연방 및 주정부 의료 지원 프로그램으로 많은 한인들이 이를 이용해 의... |
일자: 2021.05.05 / 조회수: 772 현재 가입해 있는 메디케어 플랜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올해 연말에 시작되는 정기 변경 기간(AEP)까지 기다릴 필요 없다. 1월1일부터 3월31일까지 진행되는 ‘오픈 인롤먼트 피리어드’(OEP∙Open Enrollment Period)를 이용하면 된다. 이 기간동안 메디케어 파트 C(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