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enu

구독신청: 323-620-6717

1f124b228d9d94b94515daf78a4b93c1.jpg

 

폭염은 탈진, 체내 수분 증발로 치명적

지난해 유럽 시니어 사망자 90% 더위 때문

신체 반응 저하, 만성 질환, 약 복용 등 원인

시원한 곳 찾고, 선선한 아침 저녁 운동 권고

 

 

 

역사적으로 가장 뜨거운 날들이 이어지고 있다. 

한여름으로 접어든 북반구의 3개 대륙에서 지난 7월 중순부터 연일 100도를 넘는 폭염이 쏟아지고 있다. 

폭염은 건강에 치명적이다. 인간의 피부가 견딜 수 있는 한계치를 넘는 고온은 사람을 탈진시키고 체내 수분을 증발시켜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고령의 시니어들에게는 더욱 위험하다. 

지난 2022년 여름 유럽을 강타한 더위로 65세 이상 사망자의 90%가 폭염이 원인일 정도로 시니어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전문가들은 고령자의 위험을 고조시키는 요인 3가지를 지목했다. 

우선 나이가 들수록 자연적으로 생기는 신체 저하, 나이가 들수록 늘어나는 만성 질환, 다량의 약 복용으로 인해 열에 대응하는 신체 반응 능력의 저하 등이다. 

다음은 언론들이 보도한 안전한 피서법을 정리한 것이다. 

 

열이 고령자의 신체에 주는 영향

인간의 몸은 열을 식히기 위한 2가지 주요 시스템을 작동시키고 있다. 땀과 피부의 혈류 증가다. 

나이가 들수록 이런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땀을 적게 흘린다. 또 젊은 사람들보다 피 순환도 나쁘다. 

텍사스 사우스웨스턴 의과대학의 체온 전문 내과 교수 크레익 크랜델은 “나이가 들면 체내 열을 제대로 방출할 수 없게 돼 몸속의 열이 빠르게 더 올라간다”고 설명했다.

체온이 올라가면 열상이 생기게 되고 죽음에까지 이른다. 

이런 신체적 변화가 65세에 갑자기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중년부터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한다. 오타와 대학의 글렌 케니 생리학 교수는 “서서히 줄어드는데 40세가 넘으면 확실히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나이가 들면 만성 질환이 늘어나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만성 질환이 심혈관 질환과 당뇨다. 이런 질병이 체온 조절 실패를 가속화시킨다.

심장과 관련된 질병은 많은 양의 피를 체내에 충분히 공급할 수 없다. 따라서 피부로 보내는 혈액 양이 감소한다. 

또 심각한 당뇨를 앓고 있는 사람의 신경에 문제가 생겼다면 땀을 내야 한다는 몸안의 메시지가 제대로 소통되지 않는다. 젊은 나이에도 이런 질환들을 앓고 있다면 열과 관련된 위험성이 더 높아지게 된다. 

▶나이가 들수록 목이 마르다는 느낌이 줄어든다. 따라서 물을 적게 마시게 된다. 

날씨가 뜨거우면 탈수 현상이 더 심해지게 되는데 물을 적게 마신다는 것이다. 그러면 체온 조절에 큰 어려움을 초래하게 된다. 

또 일부 시니어들, 특히 치매나 인지 장애를 겪고 있다면 기온 변화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결국 땀을 흘리는 등의 생물학적, 시원한 곳을 찾아 피하는 행동학적 반응 등 열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 

▶일부 약은 신체 수분 공급과 혈류, 땀을 방출하는 반응 속도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복용 중인 약이 있다면 의사에게 잘 알아보는 것이 좋다. 

물론 나이가 들었다고 해서 모두 앞서 설명한 내용처럼 발한이나 혈류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건강한 시니어들은 열에 잘 대처할 수 있다. 운동을 많이 하는 건강한 시니어는 앉아서 생활하는 시니어들보다도 더 땀을 쉽게 내고 혈액 순화도 잘되기 때문이다. 

 

안전한 대처법

사람들은 100도가 넘어야 건강에 해를 끼치는 폭염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고령자들에게는 80도가 넘어도 열사병의 증후가 나타날 수 있다. 

UCLA 대학병원의 노인학 전문의 안젤라 프림바스 박사는 “20대라면 80도 날씨에 수시간동안 야외에 나와도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시니어들에게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격한 운동을 하면 몸에서 더 많은 열을 내기 시작하기 때문에 열병의 위험이 더 높아진다. 

▶더운 날씨에는 나이든 시니어들과 건강이 나쁜 사람들은 걷기나 텃밭 가꾸기 등의 야외 활동은 선선한 아침이나 저녁 시간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 자주 쉬고 충분한 물을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프림바스 노인과 전문의는 조언했다. 

▶또 몸에서 나타내는 반응에 유의한다. 외부 활동이 평소보다 좀더 어렵다는 느낌을 받는다면 몸에서 하던 것을 중단하고 몸을 식히라는 신호다. 

현기증, 다소간의 어지럼증, 두통, 빨라지는 심장 박동 또는 무기력감 등은 탈수 신호 또는 열사병의 신호다. 

▶누군가가 평소보다 말수가 적어지고 같이 동참하지도 못할 때, 특히 얼마나 뜨거운지 또는 이를 표현하지 못하는 인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있다면 주변에서 주의롭게 관찰해야 한다. 

▶주변이나 가족 중에 이런 증상을 보인다면 에어컨티션이 나오는 시원한 곳으로 옮겨 열을 식혀줘야 한다.

케니 교수는 실내 온도가 꼭 얼 정도로 추울 필요는 없다면서 77~78도 이하면 충분하다고 조언했다. 

집에 에어컨이 없다면 인근 샤핑몰이나 마켓, 도서관 등의 시원한 건물로 피서할 것을 권한다. 

에어컨이 없으면 충분한 수분 섭취로 열상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얼음 조각을 피부에 문지르고 찬물을 몸에 뿌리며 셔츠를 적시거나 찬물 샤워, 목욕도 큰 도움이 된다. 

미국에서 고온은 날씨 관련 사망의 가장 큰 원인이며 이들 사망 대부분은 예방이 가능하다.

자넷 김 기자 janet@usmetronews.com

일자: 2024.05.31 / 조회수: 10

알츠하이머, 치매 40대부터 신호 온다

2050년 미국인 알츠하이머 환자 1,300만 명 정보 처리 능력 해마 부분에 불필요한 영향 흡연, 우울증, 고민, 당뇨, 혈압, 빠른 노화 위험 식생활 개선, 꾸준한 운동, 긍정적 태도 필요 요즘 치매에 대한 경각심이 어느때보다 높아졌다. 그런데 치매는 꼭 70대 80대에만 찾아오는 ...

일자: 2024.05.27 / 조회수: 10

장에 기거하는 수많은 미생물 관리 잘해야 건강하다

채소, 야채, 견과류, 김치 등 많이 먹고 술, 담배, 가공식품, 육류 피해야 항생제 먹으면 장 미생물 99% 소멸 스트레스, 매운 음식 궤양에 영향 없어 장은 우리 신체 건강을 유지하는 기초 장기다. 먹는 것을 소화시키고 영향분을 흡수한다. 장 건강이 나쁘면 영양분 섭취가 어렵...

일자: 2024.05.23 / 조회수: 5

앉아 있다가 손안대고 일어날수 있을까

내 체력 나이는 50대 아니면 80대? 팔굽혀 펴기 몇회나 할 수 있는지 내몸의 최대산소섭취량 측정해 보기 비스듬히 팔꿈치로 누워 얼마나 버티나 “얼마나 빨리 달릴 수 있으세요” “팔굽혀 펴기는 몇 개나 하실 수 있나요” 자신의 체력 나이가 얼마나 됐는...

일자: 2024.05.20 / 조회수: 14

환절기 피곤함 롱코비드 원인일 수도

바이러스 감염되면 ‘사이토카인’ 신호 물질 발산 면역시스템이 온몸에 보내는 ‘명령’으로 피곤감 유발 휴식 취하고 일 줄이고 물 많이 마시고 운동하고 10일 이내 회복 안되면 롱 코비드 심하면 의사 진단 받고 다른 원인 찾아 볼 수도 계절이 바뀌면서 ...

일자: 2024.05.03 / 조회수: 121

늦은 시간에 식사하면 덜 배부르고 더 허기져

신진대사 느려 과체중, 비만의 원인 될 수도 오전7~오후7 음식 많이 먹고 야식은 삼가 필요하다면 지방 높지 않고 무가당 가볍게 혈당 높여 고혈압, 제2형 당뇨병 위험 고조 늦은 시간에 일을 하는 기자는 야식을 자주한다. 잠들기 4시간에는 음식을 먹지 말라고 들 하는데 밤에 ...

일자: 2024.03.26 / 조회수: 22

천하 권력자 진시황이 찾던 불로초는“운동 속에 있다”

노년에‘시름시름’원치 않으면 운동해라 주 5~8시간 운동하는 사람 4.5년 더 살아 연방정부 가이드라인‘주 150분’적당 운동 필수 운동하면 뇌 혈류 개선해 알츠하이머 예방 효과 인간의 장수에 대한 욕망은 끝이 없다. 세상을 지배하고 절대 권력의 자리에...

일자: 2023.11.19 / 조회수: 98

야간의 잦은 소변과 과도한 갈증은 당뇨병의 신호

젊은 층 포함 미국인 4,000만 명 당뇨환자 환자 4명당 1명은 당뇨 앓고 있는지 몰라 시력 흐려짐, 피로감, 발의 궤양 등 증상 전문의 진단받고 식습관 개선 등 치료 필요 당뇨병은 흔히들 나이든 시니어들에게 나타나는 질병으로 알고 있지만 요즘 젊은층도 당뇨 환자가 크게 증가...

일자: 2023.10.28 / 조회수: 53

유연성, 지구력, 균형, 힘은 노화 극복의 4가지 요소

노년의 장애 극복, 도움없이 장수 가능 철봉 매달리고 스쿼트, 계단 오르고 30대부터 근육 감소, 60세엔 25% 상실 호르몬 변화에 잦은 염증으로 만성질환 나이들면 근육이 감소하고 골밀도도 줄어든다. 그리고 관절도 뻣뻣해지고 유연성이 떨어진다. 결국 몸의 균형이 무너지고 내...

일자: 2023.10.14 / 조회수: 25

30세 이상 미국인 절반 가까이 치주염 앓아

치주염 증상 거의 없어 무시하다 큰일나 하루 2회이상 양치, 치실 사용 등 예방 잇몸병 시작되면 집에서 자가 치료 안돼 치매, 심장질환 등 원인 된다는 연구보고서도 30세 이상 미국인들의 절반가량이 치주 질환 즉, 잇몸병을 앓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잇몸병인 치주염은 ...

일자: 2023.09.11 / 조회수: 42

돈많은 사람들, 예방차원으로 전신스캔 유행

건강보험 커버 안되지만 인기 상승중 암이나 동맥류 조기 발견해“장수하자” 뭔가 발견되면 추가 검사까지‘불안에 휩싸여 전국에 수십여 검사소서 생기며 계속 증가 요즘 건강한 사람들 사이에서 전신 스캔이 유행하고 있다고 월스트릿 저널이 최근 보도했다. 하...

일자: 2023.08.29 / 조회수: 43

매년 10만명 정맥혈전증으로 목숨 잃어

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 뇌졸중 등 혈관에 생긴 혈전 혈류타고 장기 이동 피공급 막고 산고 공급 차단해 매우 위험 증상 있다면 즉시 응급실 찾아 치료해야 베이거나 다치면 피가 나겠지만 상처가 심하지 않으면 곧 멈춘다. 대부분 피가 굳어져 더 이상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막...

일자: 2023.08.06 / 조회수: 33

물많이 마시고 그늘진 곳에서 쉬고 땀내고

폭염은 탈진, 체내 수분 증발로 치명적 지난해 유럽 시니어 사망자 90% 더위 때문 신체 반응 저하, 만성 질환, 약 복용 등 원인 시원한 곳 찾고, 선선한 아침 저녁 운동 권고 역사적으로 가장 뜨거운 날들이 이어지고 있다. 한여름으로 접어든 북반구의 3개 대륙에서 지난 7월 중...

일자: 2023.07.03 / 조회수: 35

골반 골절 환자 25~30%는 사망까지 이른다

뼈 건강 유지하고 낙상 위험 줄이고 칼슘, 비타민 D, 정기적인 운동 필수 골다공증 검사해 자신의 상태 알아야 뼈 골절 경험 있다면 위험 요소 증가 골반 골절이 매년 늘어나고 있다. 2050년에는 지금의 두 배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나이 들어 골반 골절은 상당히 위...

일자: 2023.05.30 / 조회수: 50

구강 위생 나쁘면 다양한 질병 불러온다

오복 중 하나 치아 건강 유지해야 치주질환 박테리아 피 타고 온몸 배회 치매, 심장 질환 조산 등 악영향 우려 하루 두 번 이 닦고 치실 사용하고 치아 건강이 좋아야 장수할 수 있다. 우선 음식물을 잘 씹어 건강한 영양소를 가득 섭취할 수 있다. 치아가 나쁘면 먹기도 힘들다. ...

일자: 2023.05.30 / 조회수: 35

휴가를 떠나자 - 심장 건강, 스트레스 해소, 숙면에 도움

<독자 이철훈씨 제공 - LA 그리피스 산행에 나선 주민들> 유급 휴가를 갈수 있는 미국 직장인의 46%는 휴가를 제대로 쓰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휴가를 쓰지 못하는 만큼 건강에 해롭다. 또 휴가는 심장 건강과 숙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사우스 오...

일자: 2023.05.23 / 조회수: 38

요즘 젊은 세대 '힘' 이전 세대에 비해 22% 줄어 - 운동 않고 앉은 시간 많아

노년에 근육 감소로 낙상 위험 고조 우려 단백질 섭취하고 운동하고 남성들의 상징은 근육이다. 근육이 곧 힘이고 건강의 지표다. 하지만 요즘 남성들은 이전 세대보다 근육도 줄고 힘도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그러면 무엇이 이들을 약하게 만들까. 운동부족이다. 노...

일자: 2023.05.10 / 조회수: 21

환자 맞춤형 mRNA로 ‘침묵의 병’ 췌장암 퇴치 가능해진다

췌장암을 막아주는 백신? 꿈 같은 이야기이지만 실현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췌장암은 발견하기도 힘들고 치료도 어려워 “침묵의 병”(silent disease)로 알려져 있다. 복부 통증과 체중 감소를 포함한 증상들이 이미 암세포가 혈관을 타고 조직으로 번진 ...

일자: 2023.04.30 / 조회수: 29

눈을 통해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 가능할 것

망막에 쌓이는 이상 물질로 확인 이를 촬영하는 기술 개발될 것 조기진단으로 환자 스스로 예방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했다. 그런데 요즘은 눈으로 인지 건강을 알 수 있는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고 복수의 언론들이 최근 연구 결과를 인용해 보도했다. 플로리다 보카 래튼의 &lsqu...

일자: 2023.04.20 / 조회수: 19

만인의 꿈‘9988234’하려면 몸 9군데 튼튼해야

백세시대 건강 비법은 꾸준한 운동과 건강식 뇌, 심장, 관절, 폐, 치아 등 지켜야 유연성 키우고 근육량 늘리고 책상에 앉았다면 1시간마다 일어나라 9988234. 99세까지 팔팔하게 살다가 2~3일 아프다 죽는다. 백세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인간들이 간절히 꿈꾸는 소망이다. 조하나 ...

일자: 2023.04.11 / 조회수: 20

‘음식이 보약이다’ – 건강식이 장내 박테리아 활성해 건강 증진

<Ted Edu video capture> 음식에서 비롯된 만성 질환이 미국에서 위험수준에 육박하고 있다고 온라인 전문가 오피니언 전문 웹사이트 ‘컨버세이션’(The conversation)이 워싱턴 대학의 소화기과 부교수의 기고를 통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인 거의 절반가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