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enu

구독신청: 323-620-6717

 

soda.jpg

 

우리가 상용하는 음료수 중에는 몸에 좋은 것과 나쁜 것이 있다. 물론 술이 가장 나쁘겠지만 몸에 들어가 조용해 염증을 일으켜 생명을 단축시키는 나쁜음료다.

몸에 염증이 생기면 암과 심장질환, 기타 건강 문제를 가져온다. 따라서 스스로 음식을 조절하고 열심히 운동하면서 이런 염증이 유발하는 질병을 막아야 장수로 가는 지름길을 탈 수 있을 것이다.

이중에서도 특히 음료수가 중요하다. 몸에 수분을 공급해주는 아주 중요한 소스지만 음료가 다 좋은 음료는 아니다를 항상 기억하는 것이 좋겠다.

세계적 권위의 클리블랜드 클리닉에 따르면 가공육, 튀김음식, 당분 절임 음식, 또 기타 정제된 탄수화물은 만성 염증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한다. 여기에 한가지 추가되는 음식이 있다. 음료수다.

예를 들어 가당이 함유된 음식은 염증 수치를 더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소다수, 과일음료, 주기적인 설탕 또는 가당 커피 역시 몸 안의 염증을 더 악화 시킨다는 것이다.

 

설탕 든 라테 커피

의학전문위원회회원이자 스포츠 영양플레이북의 저자 에이미 구슨은 커피에는 폴리페놀 화합물 등 염증에 효과를 발휘하는 유익한 물질들이 들어 있다는 연구 결과도 많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많은 커피와 유사 커피에는 시럽, 소스, , 드리즐 등 설탕이 함유돼 있다면서 가끔 마시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계속 마시게 되면 설탕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2018영양학학회지에 보고된 한 연구 논문은 정제 설탕이 든 음식과 염증이 매우 깊은 관계를 가진다고 결론지었다. 특히 설탕이 많이 든 음식으로 먹으면 혈액 속에 염증 수치를 크게 올린다는 것이다.

따라서 설탕을 듬뿍 넣은 커피 대신에 저용량 감미료를 첨가해 마시는 것이 훨씬 건강에 좋으며 윕이나 드리즐을 피하고 우유를 넣어 먹는 것이 낫다고 그는 밝혔다.

또 일반 커피 가격이 더 싸므로 돈도 절약할 수 있다.

 

▲가당한 오트밀 우유

우리고 보통 식물성 우유를 건강식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다. 이런 우유가 오히려 체내 염증을 더 악화 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다.

오트밀 우유에 첨가를 하고 설탕을 추가하면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첨가제가 들어가 있지 않더라도 오트밀 우유에는 7그램의 설탕이 들어 있다. 또 글루텐 앨러지가 있는 사람에게는 상황이 더 나빠질 수 있다.

오트(oat, 귀리)는 글루텐이 없다. 하지만 가공 과정에서 글루텐이 들어간 제품과 섞이는 경우가 많다.

오트밀 우유를 구입할 때는 레이블의 성분을 잘 확인하고 구입한다.

 

▲달콤한 차

남부에 산다면 달콤한 차 한잔에 매우 익숙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글자 그래도 이 차에는 설탕이 듬뿍 들어 있다.

굿슨은 설탕이 들어간 티는 가능한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다면서 지속적으로 마신다면 만성 염증을 유발하고 영양분 없이 칼로리만 높인다고 말했다.

영양 연구학회지에 따르면 가당 음료를 줄이면 혈중내 염증 지수도 낮아진다.

 

마켓서 판매하는 스무디

한인들에게는 스무디가 익숙하지 않을 것이다. 이 스무디는 운동후 대체 식품으로 매우 좋다. 하지만 스무디에는 터비나도라고 불리는 중백당이 다량으로 들어 있다. 당백당을 넣고 과일 주스까지 혼합하므로 설탕 양이 급격히 늘어 난다.  

하지만 모든 스무디가 다 나쁜 것은 아니다. 당이 가미되지 않은 스무디는 건강식에 포함될 수 있다. 차라리 집에서 스미디를 만들어 먹는 것이 훨씬 좋다.

신선한 과일과 우유, 그리고 요구르트를 넣어 집에서 만드는 것이다. 어쩔수 없이 마켓에서 구입한다면 성분을 잘 확인하고 구입한다.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비율이 잘 맞는다면 혈당을 급격히 올리지는 않는다.

 

소다

소다수에 첨가된 설탕은 염증을 유발한다. 만성 염증은 가당 음료를 지속적으로 마실 때 더 높아진다.

가당된 소다수를 마시면 질병을 유발하는 염증을 증가시키므로 소다 대신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

그래도 마셔야한다면 섭취량을 줄이거나 가끔 마시고 또 설탕이 적게 든 가당 음료를 마신다. <김정섭 기자>

 

일자: 2023.04.09 / 조회수: 195

음핵 확대 주사, 수술 받는 여성 늘어나

성적 쾌감을 높이기 해 요즘 클리토리스라고 부르는 ‘음핵’에 필러를 집어 넣거나 아예 화대 수술을 받는 여성들이 늘고 있다고 인터넷 뉴스 웹사이트 ‘버즈피드 닷 컴’(BuzzFeed.com)이 최근 특집기사로 보도했다. 플로리다에 사는 ‘애나’(...

일자: 2023.04.04 / 조회수: 27

인공 눈물 박테리아 감염사태 원인은 인도 공장 위생 미달 때문

미국 인공 눈물로 인한 박테리아 감염으로 3명이 죽고 수십여명이 실명된 인공눈물 사태가 미국 안전 기준에 미달한 인도 제작사 때문이라고 연방 식품 의약국(FDA)가 밝혔다. FDA는 지난주 인도 체나이에 위치한 ‘글로벌 파마’ 공장을 조사한 결과 보고서를 발행했다...

일자: 2023.04.03 / 조회수: 300

먹다 남은 밥 그냥 먹지 마세요… 냉장 보관도 4~6일이 최대

박테리아가 뿜어내는 독성 설사, 구토 유발 곡물 세리우스 균은 화씨 40~140도서 발아 밥은 오래 두면 쉰다. 이 쉰밥을 먹으면 당연히 탈이 난다. 요즘 틱톡이나 소셜 미디상에 밥이나 파스타 등 요리를 한 곡물 음식을 잘못 보관했다가 탈이 났다는 내용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

일자: 2023.03.31 / 조회수: 21

박테리아 오염 인공 눈물, 안연고 대대적 리콜

녹농균 감염 3명 죽고 11명 실명, 안구 적출 캘리포니아 일리노이 등 16개주 관련 2개 제품 이어 자발적 리콜도 속출 인공눈물 사용한다면 제품 확인 필요 요즘 미국에 인공 눈물 파동이 일고 있다. 연방 보건 당국은 일부 인공 눈물과 안약에서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으...

일자: 2023.03.24 / 조회수: 94

항생제 효력 없는 칸디다 진균 곰팡이 급속 확산 우려 – 손 잘 씻고 소독하고

칸디다 아우리스(Candida auris, 칸디다 진균)으로 불리는 곰팡이가 미국에 급속히 퍼지고 있어 보건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2016년 미국에서 처음 발견된 칸디다 진균이 최근 우려할만한 수준으로 퍼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전문의들은 전세계로 확...

일자: 2023.03.18 / 조회수: 37

멕시코 약국서 관광객 상대 판매되는 가짜 마약성 진통제 주의보

미국 국무부는 펜타민이 다량으로 함유된 짝퉁 의약품들이 많다며 멕시코 약국에서의 의약품 구입을 금하라고 경고했다. 국무부는 17일 멕시코 여행 경보를 발령하면서 “멕시코에서 의약품을 구입할 때 특히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여행객이 많이 몰리는 관광지 또...

일자: 2023.03.12 / 조회수: 29

불안감, 스트레스, 고민이 숙면의 가장 큰 적

시니어도 하루 7~8시간 숙면 필요 생체시간 잘 유지하고 빛 쪼여라 숙면 어렵다면 명상 등 마음 비우기 연습 늦은 시간대 술은 수면에 큰‘적’ 요즘 밤잠을 설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잠이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나이가 들었다고 해...

일자: 2023.03.01 / 조회수: 24

약물 내성 강한 변종 이질균 미국내 확산 경고

약물에 내성을 가진 소화기계 감염 박테리아가 맹렬히 퍼지고 있어 보건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이질균 XDR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우려된다고 밝혔다. XDR 이질균은 다중 약물 내성을 지닌 이질균의 변종으로 2015년에는 한건도 보고되지 않았으나22...

일자: 2023.02.25 / 조회수: 167

키작은 사람이 더 오래산다고?

여성이 남성보다 오래 산다는 말은 과학적 근거가 충분하다. 그런데 작은 사람이 큰 사람보다 오래 산다는 말이 사실인가. 인터넷에 떠도는 말이지만 사실을 증명하기는 힘들다. NBC방송은 수년간 기대수명을 연구해온 2명의 장수 전문가에게 물었다. 한명은 건강과 장수의 상관관...

일자: 2023.02.24 / 조회수: 107

"O형은 과다 출혈, A형은 스트레스 주의”

혈액형과 특정 질병 관계”주장 과학적 근거 미약, 통계 의존 수준 AB형 기억력, B형 혈전 경계 사람마다 혈액형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 혈액형을 보면 어떤 병에 취약한지 알 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고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과학자들 조차도 혈액형과 특정 질병과의 관...

일자: 2023.02.20 / 조회수: 52

스테로이드 주사는 연골 약화시킬 수 있어 주의

꿈의 마라톤 부상 없이 훈련하기 급격한 훈련 늘리기는 부상의 원인 발 모양과 달리는 습관에 맞는 신발 훈련 중 아프다면 대체 운동으로 회복 “마라톤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아무나 하지는 못한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장거리를 지속적인 속도로 끈기 있게 뛴다는 ...

일자: 2023.02.12 / 조회수: 34

‘일소일소 일노일노’화는 심장과 뇌를 파괴한다

분노와 스트레스는 고립감만 가져와 명상하고 감사하며 큰 그림 그리기 심장, 뇌, 소화기 장애 등 건강 주의해야 ‘일소일소 일노일노’ 한번 웃으면 한번 젊어지고 한번 화내면 그만큼 늙어진다는 사자성어다. 신유가 부른 노래도 있다. ‘세상사 스무고개 길/좋...

일자: 2023.02.04 / 조회수: 54

개스 스토브 건강에 해로운가? - 미국 제재 움직임

어린이 천식 12%는 집안사용 개스 스토브 때문 연방정부, 신규설치 규제, 강력 환풍기 추진 천연개스 연소로 산화질소등 화학물질 방출 메탄 개스, 이산화 탄소 등 실내 공기 오염 환풍기 틀고, 창문 열어 환기 신경써야 연방정부가 미국내 주택이나 건물에 신규 개스 스토브 설치...

일자: 2023.01.28 / 조회수: 87

당분 많은 음료수, 몸속 염증 유발한다

우리가 상용하는 음료수 중에는 몸에 좋은 것과 나쁜 것이 있다. 물론 술이 가장 나쁘겠지만 몸에 들어가 조용해 염증을 일으켜 생명을 단축시키는 ‘나쁜’ 음료다. 몸에 염증이 생기면 암과 심장질환, 기타 건강 문제를 가져온다. 따라서 스스로 음식을 조절하고 열심...

일자: 2023.01.26 / 조회수: 1833

밥 냉장고에 넣고 오래 꺼내 먹을 수 있을까?

“밥을 많이 해 냉장고에 보관하고 먹지 말고 버려라!” 보통 먹다 남은 밥을 다시 냉장고에 며칠 두고 먹는데 이는 매우 위험한 습관이라고 인터넷 매체 CNET이 경고했다. 보도에 따르면 냉장고에 들어있는 밥이라고 해도 5일 연속 두고 먹는다면 위장에 문제가 생길 ...

일자: 2023.01.25 / 조회수: 34

멕시코 해변, 공원 등서도 전면 금연 – 위반시 최고 550달러 벌금

흡연자들이 멕시코에 여행 간다면 새로 바뀐 금연법에 주의해야 할 것 같다. 멕시코는 1월15일부터 공공장소 흡연을 전면 금지했다. 직장내 금연뿐 아니라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공원, 해변, 스포츠 경기장, 광장 등에서의 흡연이 불허된다. 담배뿐만 아니라 니코틴을 내포한 모든 ...

일자: 2023.01.23 / 조회수: 236

여성들 심장마비 증상 미미해 오진 가능성 높아

식은 땀, 턱 또는 등 통증, 피로감, 가쁜 호흡 주요 증상 가슴 통증이나 답답한 증상 많지 않아 응급실서 여성은 남성보다 11분 늦게 의사 진료 심장마비를 정신적 스트레스로 오진 많아 젊은 여성 심장마비 발병률 높아져 심장병은 미국인들의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매...

일자: 2023.01.14 / 조회수: 56

CDC, “파이자 5차 코비드 백신, 뇌졸중 위험 고조 관련 있을 수도”

파이저는 “증거 없다”반박 질병예방통제센터(CDC)과 식품의약국(FDA)는 13일 새로 나온 파이저의 ‘바이밸런트’(bivalent) 코비드 19 백신(5차 백신)이 65세 이상 시니어들의 뇌졸중과 관련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백신 접종은 계속 권고했다. CDC...

일자: 2023.01.11 / 조회수: 65

연방정부도 개스 스토브 신규 설치 금지 모색 – 어린이 천식 등 위험 이유

캘리포니아 등 지방정부에 이어 연방정부가 어린이 건강을 해칠 위험이 높다는 이유로 실내 개스 스토브(또는 가스 스토브, gas stove) 신규 설치를 금지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새로 건설되는 주택에는 전기 스토브를 설치하거나 고성능 환풍 장치를 설치해야 한다는 내용이...

일자: 2023.01.02 / 조회수: 109

캘리포니아 마리화나 법 - 공공장소 흡연 안돼, 28.5그램까지 소지

좌편향 캘리포니아에서 마리화나가 합법화되기는 했지만 이로인한 공공의 피해는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렇다면 마리화나를 공공장소에서 버젓이 피워도 될까. 캘리포니아는 2024년부터 마리화나 흡연자는 직장 밖에서 마리화나를 피우면 고용주로부터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도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