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enu

구독신청: 323-620-6717
 
지방간.jpg

 

 

 

방치하면 간경변 잃으켜 목숨까지 앗아가

20년 이상 진행되고 증상도 없어 매우 위험

생활습관 고치고 유산소 운동 등으로 예방

비만, 제2형 당뇨병 등 신진대사 질환 조심

 

 

62세 생일을 앞둔 제랄딘 프랭크는 눈에 이상 증세를 보여 의사를 찾았다. 프랭크의 눈에 황달이 생긴 것이다. 의사는 간에 심각한 상처가 생기는 간경변을 앓고 있다고 말해줬다. 간경변은 수년 또는 수십년간 진행된다. 그녀는 5주후에 숨졌다. B, C형 간염부터 지방간, 과도한

음주 등등 원인은 다양하다. 하지만 프랭크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원인이었다.

과체중인 그녀는 건강에 관한 여러가지 진단을 받았지만 간에 대해서는 의사에게서 아무런 말도 듣지못했다. 그녀의 아들 데이빗 프랭크

는“ 요즘 같은 의학 시대에 어떻게아무도 이 문제를 알지 못했는지 모르겠다”며 답답해했다.

간경변은 대사 기능 장애 관련 지방간 질환(MASLD)의 마지막 단계에 발생할 수 있다. 간에 지방이 쌓여 염증과 상처를 내는 것이다. 이

MASLD는 최근에야 비 알코올성지방간 질환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세계적으로 10명 당 거의 4명꼴로 이 질환을 앓고 있으며 미국에서

는 간 이식을 받아야 하는 가장 큰원인이기도 하다.그렇다고 예방이 어려운 것은 아니다. 진행을 막고 상처 치료도 가능하다. 하지만 거의 손을 쓰기 힘든상태가 되어서야 진단을 받는 것이문제다. 자각 증세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뉴욕 마운트사이나이 아이칸 의과대학의 간질환 전문가 미나 반살교수는“ 마지막까지 무증상일 때가 많다”면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도 몸에서는 계속 병이 진행된다”고 말했다.

 

MASLD, MASH

대사 장애 관련 지방성 간 질환(MASLD)은 알코올로 인해 발생하지 않는, 간 세포에 과도한 지방이축적되는 것을 말한다. 간에 지방이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 것은 정상이다. 그러나 간 무게의 5~10% 이상이 지방이면 이를 지방간(지방증)이라고 한다.

NAFLD이 더 발전하면 무 알코올지방성 간염 (NASH) 즉, 대사 장애관련 지방간염(MASH)로 발전한다.

이 NASH는 간을 부풀게 하고 손상시킨다.

MASLD 환자의 간에는 과도한 지방이 쌓여 있다. 또 비만, 고혈당, 고혈압등 한가지 이상의 신진대사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다.

환자 4명중 한명은 좀더 진전된 신진대사 장애 관련 지방 간염(MASH)을 앓는다. 이런 조건에서 축적된 지방은 간에 염증을 유발하

고 간세포를 훼손 시키며 경우에 따라서는 간에 상처를 남긴다.

이 MASH를 가진 사람 5명중 1명은 간경변으로 진행된다. 간 기능이작동하지 못하고 간암의 위험을 높인다. 간경변으로 발전한다고 해도 환자는 수년동안 이를 느끼지 못할 때가 많다고 시카고 의과대학의 신진대사 및 지방간 학과의 매리 리넬라 학과장은 설명했다.

간 기능이 약화되기 시작하면 환자는 배에 물이 차고 황달기를 보이거나 혈액에 독성 물질이 쌓여 정신이 혼미해 지기도 한다.

 

누가 위험한가

제 2형 당뇨병 또는 복부 지방이 과도하게 쌓인 비만 환자는 위험이 더크다고 간 전문의들은 경고했다. 이런 환자는 포화 지방과 탄수화물 등과도한 칼로리를 섭취하고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져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결과를 가져 온다.

지방 자체가 염증과 간세포를 손상시키는 화학물질을 내뿜는다. 인종적으로는 라틴계가 일반인들보다 더 위험하다. 라틴계는 일반 사람인들 보다 신진대사 문제를 더 많이 가지고 있고 간에 지방을 축적시키는 유전자 변종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버지니아 커먼웰스 의과대학의 스타비츠-산니얄 연구소장이 밝혔다.

 

지방, 염증이 간에 상처

간은 콜라겐을 만들어 손상된 세포를 치료하려고 하는데 결국 손상된조직에 상처를 남긴다. 반살 교수는 지방과 염증이 계속 간을 손상시킨다면“ 환자의 간에는 점점 더 많은 상처가 남는다”고 설명했다.

이를 간섬유증이라고 부르는데 의사들은 0~4단계로 구분해 4단계를 간경변으로 진단한다.

간경변은 장기간 과도한 알코올 섭취로 인해서도 발병한다. 의사들은 피검사에서 나타나는 FIB-4 수치를 보고 병의 진전 상황을 파악하지만 이 검사는 일반적이지는 않다고 반살 교수는 덧붙였다.

환자들은 간경변으로 인한 복합증상이 나타난 후에야 간병변 진단을 받곤 한다.

샌얄 학과장은“ 20년 이상 진행된상태”라고 말했다.

앞서 황달기를 보인 프랭크는 간경변 진단을 받았을 때는 이미 치료를할 수 없을 정도의 상황이었다. 그녀는 5주 후 숨졌다.

 

어떻게 고치나

MASLD의 초기 단계라면 몸무게를 줄이고 음식을 조절하면서 호전시킬 수 있다.

지방축적과 염증을 줄여 간 세포손상을 줄이면 간은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 의사들은 대표적인 건강 식단으로 알려진 지중해식단을 추천한다.또 최소 1주 150분 이상의 유산소운동과 저항력 운동을 해준다.

비만 대사 수술로 섬유증을 호전시킬 수 있다. 또 오젬픽과 같은 살빼는 약이 간 질환의 진행을 막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믿는다.

연방식품의약국(FDA)는 최근‘ 레스메티롬’을 승인했다. 이 약은 간의 염증을 없애고 상처를 줄여 섬유종 2~3기를 치료한다.

생활 스타일 변화도 중요하다.

펜실베이나 교육구 직원인 샤와나 제임스-콜스(54)는 생활 방식을 바꿔 지방간을 크게 호전시켰다.

그는 2021년 비알콜성 지방간질환과 2~3단계 섬유종 진단을 받았다.그녀는 일을 하기 전 의자를 이용한 요가와 매일 걷기부터 시작했다. 또 아침에 즐겨 먹던 설탕 가미 즉석 오트밀 대신에 오물릿으로 바꿨다.

그녀의 몸무게는 50파운나 줄었다. 또 섬유종 역시 0~1단계로 내려갔다.

그녀는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고 강조했다. 자 넷 김 기자

일자: 2025.03.27 / 조회수: 70

1주 1회 치실 사용으로도 뇌졸중 위험 낮춘다

매년 미국서 79만 5,000명 뇌졸중 앓아 피로 들어가 혈전 만드는 음식 찌꺼기 박테리아 예방 치실과 물청소기를 병행하면 효과 더 커져 구강 건강 잘 키켜야“오래 산다”입증 구강 건강이 건강을 유지하는 지름길이라고들 한다. 입을 잘 관리하면 심혈관 질환 예방에도...

일자: 2025.03.27 / 조회수: 52

미국인 사망 1위 심장마비, 나이 들수록 약물 치료 효과적

심장 및 혈관 유연성 떨어지고 더 경직돼 심박세동기 인기 높지만 나이든 시니어들은‘글쎄’ 의약품 개발 좋아져 약물 치료가 좋을 수도 심장마비 경험했다면 꾸준한 재활훈련도 중요 심장마비는 미국인 사망과 장애 원인의 1위를 차지한다.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일자: 2025.03.12 / 조회수: 70

바늘로 찌르는 듯 극심한 통증 반복되는 통풍

에스트로젠 수치 낮은 남성이 더 많아 초가공 식품 늘어나면서 전 세계적으로 확산 음식 폐기물 요산 배출 안돼 몸속에 쌓여 엄지발가락 등 관절에 바늘 결정체 만들어 공격 적색류, 술 삼가고 얼음찜질, 장기 치료제 복용 통풍(gout)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다. 통풍은 참기 힘...

일자: 2025.03.03 / 조회수: 84

시니어들의 불청객‘백내장’80대 이상 절반

맑았던 눈 수정체에 뿌연 안개 수술로 인공 수정체 갈아 끼워야 10분 간단한 수술로 새 세상 맞이 별다른 예방책 없이 시니어 괴롭혀 백내장을 가진 시니어들이 많다. 카메라 렌즈 역할을 하는 눈의 수정체가 나이가 들면서 혼탁해지면서 발생한다. 약물 치료만으로는 혼탁해진 수...

일자: 2025.02.08 / 조회수: 104

“건강은 내 스스로가 지키고 검사 자주 받아라”

미국에서 매년 80만 명이 오진 또는 알려지지 않은 질병으로 사망한다고 존 홉킨스 대학을 인용해 월스트릿 저널이 최근 보도했다. 신문은 한 환자의 말을 빌어 “건강은 스스로 지켜야 하며 바쁜 의사에게 모든 것을 맡기면 안된다”고 덧붙였다. 신문은 운동 선수 출...

일자: 2025.01.16 / 조회수: 116

세계 인구 10명 당 4명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방치하면 간경변 잃으켜 목숨까지 앗아가 20년 이상 진행되고 증상도 없어 매우 위험 생활습관 고치고 유산소 운동 등으로 예방 비만, 제2형 당뇨병 등 신진대사 질환 조심 62세 생일을 앞둔 제랄딘 프랭크는 눈에 이상 증세를 보여 의사를 찾았다. 프랭크의 눈에 황달이 생긴 것...

일자: 2025.01.16 / 조회수: 109

매년 140만 명 폐렴으로 응급실, 이중 4만 1,000명 숨져

폐에 물 차고 염증 생겨 몸에 산소 공급 방해 손 자주 씻고 백신 맞아 특정 폐렴 막아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감염이 원인 유아, 2세 이상 어린이, 65세 이상 시니어 등 위험 한인사회에 이름이 잘 알려진 한 보험 에이전트가 지난달 초 폐렴으로 입원했다가 회복하지 못하고...

일자: 2024.11.18 / 조회수: 241

김수미씨 목숨 앗아간‘고혈당 쇼크’가 뭐길래

당뇨환자라면 귀찮아도 꼭 혈당 체크를 500mg/L로 몸속 산성화, 전해질 부족‘코마’ 소변 자주보고 목 마르고, 입안 건조해지고 증상 나타나면 응급실서 치료 받아야 한국의 인기 배우 김수미 씨가 지난달 갑자기 숨졌다. 평소 건강하고 활달하게 연기 생활을 해 왔던 ...

일자: 2024.10.21 / 조회수: 216

암으로 발전시킬 위험 높은 4대 병원균 주의

wellbeing 2024.10.20 19:46 자궁·구강암 원인 유두종바이러스, 간염, 헬리코 박터 장기적 노출되면 세포 염증 일으켜 암으로 발전 HPV, B형 백신으로 조기 예방 필요 손 씻고 식기 공유 하지 않는 등 개인위생 주의도 장수 시대에 접어들면 부수적으로 따라오는 것이 질병...

일자: 2024.10.01 / 조회수: 483

‘과유불급’야채 식단, 오히려 몸에 부담

미국인 95%는 권장 섬유질 섭취하지 않아 일반성인 하루 20~25그램 나이 들면 줄어 너무 많이 먹으면 미네랄 결핍, 복부 팽만감 자신에 맞는 양 찾아 견과류 등 골고루 섭취 야채와 과일을 많이 먹어야 오래 산다고 한다. 우리가 최고의 식단으로 꼽는 지중해식 식단 역시 야채 중...

일자: 2024.09.18 / 조회수: 324

잠잘 때 다리 등에 경련 있다면 잠들기 전 스트레칭

수분이나 미네랄 부족, 신경계 오작동 눈, 얼굴 떨림, 다리 등 굳어지고 경련 푹 자고 운동 전 스트레칭 해주고 잘 먹고 몸 이상 신호일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의 많은 사람들이 근육 경련으로 고생한다. 우리는 이를 ‘쥐가 났다’고 말한다. 근 연축 또는 근 경축이라...

일자: 2024.07.31 / 조회수: 256

치매의 60~80%는 알츠하이머병

회상, 날짜 기억 못 한다면 알츠하이머 의심 아미노이드-베타 단백질 과다가 원인 추정 일상과 기억 등 최소 2가지 이상이면 치매 의심 잘 관찰하고 조기 진단받고 운동하며 진행 늦추기 많은 사람들이 치매와 알츠하이머를 혼동한다. 알츠하이머는 치매의 일종이다. 현대 치매의 ...

일자: 2024.06.30 / 조회수: 267

“화내지 말아라, 신체 건강에 해를 끼친다”

분노 심하면 심장, 뇌, 소화기에 문제 혈관 이완 못해 혈류에 문제 발생 스트레스 호르몬 뇌세포 파괴해 장벽 세포 틈 벌어져 음식 과도 쌓여 명상, 심호흡, 마음 챙김 등 통해 관리 열을 잘 받는 사람들이 많다. 몸에 나는 열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조금만 기분 나빠도 버럭 화...

일자: 2024.06.30 / 조회수: 208

정기적인 운동으로 알츠하이머 예방한다

6년내 미국인 850만 명 알츠하이머병 걸려 운동하면 뇌에 자극 줘 새 세포 생성 촉진 혈류 늘려 산소 공급 더 늘어 혈관 유연성 키워 걷는 것만으로도 뇌의 수많은 세포들이 운동 알츠하이머는 치매의 일종으로 한번 시작되면 치료가 어려운 무서운 뇌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앞으...

일자: 2024.06.30 / 조회수: 223

8시간 수면보다 규칙적 수면이 장수에 더 중요

규칙적 수면은 조기 사망 위험 20~48% 낮춰 적게 자도 제시간에 자고 일어나야 장수 제대로 자면 남성 4.7년 여성 2.4년 더 살아 취짐 1시간 반전 불 절반 끄고 침실은 차고 어둡게 ‘잠 못 드는 밤’젊음이 넘쳐 잠을 설치는 청장년들의 이야기가 아니다. 나이 들어 이...

일자: 2024.06.08 / 조회수: 420

75세까지 여성 86%, 남성 80% 고혈압 시달려

운동하고 과일, 야채, 저염식 중요 한국인 65세이상 노인 65.2% 고혈압 혈관 손상 잃으켜 뇌졸중, 치매 유발도 120/80 정상 유지, 130/80 이면 고혈압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라고들 한다.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이다. 한국인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고혈...

일자: 2024.06.03 / 조회수: 219

재채기에 콧물, 코막힘 “감기야 앨러지야”

봄철 단골 불청객 꽃가루 앨러지 기승 미국인 4명당 1명꼴로 시즌 앨러지로 고생 기온 올라가고 비 많아져 꽃가루 농도 높아져 소금물로 코 씻어내고 집에 돌아오면 샤워 만물이 눈을 뜨는 봄이다. 이미 입춘이 지난지도 반달이다. 그런데 이런 반가운 봄소식에 반갑지 않은 손님...

일자: 2024.05.31 / 조회수: 303

알츠하이머, 치매 40대부터 신호 온다

2050년 미국인 알츠하이머 환자 1,300만 명 정보 처리 능력 해마 부분에 불필요한 영향 흡연, 우울증, 고민, 당뇨, 혈압, 빠른 노화 위험 식생활 개선, 꾸준한 운동, 긍정적 태도 필요 요즘 치매에 대한 경각심이 어느때보다 높아졌다. 그런데 치매는 꼭 70대 80대에만 찾아오는 ...

일자: 2024.05.27 / 조회수: 237

장에 기거하는 수많은 미생물 관리 잘해야 건강하다

채소, 야채, 견과류, 김치 등 많이 먹고 술, 담배, 가공식품, 육류 피해야 항생제 먹으면 장 미생물 99% 소멸 스트레스, 매운 음식 궤양에 영향 없어 장은 우리 신체 건강을 유지하는 기초 장기다. 먹는 것을 소화시키고 영향분을 흡수한다. 장 건강이 나쁘면 영양분 섭취가 어렵...

일자: 2024.05.23 / 조회수: 261

“술 마시기전 맥주 한잔하면 술 덜 취한다”는 낭설

독일 대학 연구팀 실험해 봤지만 근거 없어 위스키나 브랜디는 보드카, 진보다 숙취더해 물과 섞어 마시며 알코올 농도 줄이면 도움 술 섭취 줄이고 술 마시기전 음식부터 돗수 높은 술을 마시기전에 맥주를 마시면 덜 취한다고 믿는 한인들이 많다. 정말 그럴까. 뉴욕타임스는 이...